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 />직구족들, 요즘 중국 온라인쇼핑몰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물건 가격은 국내보다 훨씬 싼데, 품질에는 별 차이가 없어서라는데요.<br /><br />가파르게 성장한 중국 e커머스, 경제 카메라 정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자그마한 솔로 무선 이어폰 케이스를 구석구석 닦습니다. <br /><br />중국 쇼핑몰에서 천 원을 주고 구매한 청소도구입니다. <br /><br />몇 년 전까지 중국 직접 구매는 배송에만 수개월이 걸렸지만 최근엔 항공기를 이용해 배송이 빨라졌습니다.<br /><br />[김경래 / 중국 직구 10년 이용자] <br />"완성도가 떨어지면 살 수가 없거든요. 이 가격에 근데 완성도가 있으니까 사게 되는 거고." <br /> <br />전력 사용량을 보여주는 스마트 플러그를 중국 쇼핑몰 두 곳에서 주문해봤는데요. <br /><br />각각 닷새, 일주일 만에 서울에 도착했습니다.<br /> <br />물건은 이상 없이 잘 작동했고 가격은 국내 쇼핑몰의 절반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<br />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중국 직구 거래액은 처음 2조 원을 넘었습니다. <br /><br />중국 쇼핑앱인 알리와 테무는 국내 월 이용자가 1000만 명이 넘을 만큼 급속도로 성장했습니다. <br /><br />이용자 수가 줄어드는 우리 쇼핑 앱과 대조적입니다.<br /><br />비결은 규모의 경제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거대 유통망을 바탕으로 단가를 낮춘 겁니다. <br /> <br />알리는 판매자에게 상품을 대량으로 사들여 소비자에게 싸게 파는 박리다매 전략을 펼칩니다.<br /><br />테무 역시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주고 가격을 최저가로 매깁니다. <br /><br />[정성훈 / 경기 김포시] <br />"알리에서 만 원짜리 가격이면 (국내에선 같은 제품이) 2만 원내지 2만 5천 원 정도가 기본적인 가격이고요. 제일 비쌀 땐 한 5배 높았어요." <br /> <br />그림부터 스피커 거치대, 스마트워치 시곗줄까지. <br /><br />구매 상품도 전보다 다양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품질이 낮아 소비자들이 꺼렸던 의류나 유아용품도 이젠 인기 품목입니다. <br /><br />[최민영 / 서울 서대문구] <br />"알파벳 숫자 교구인데요. 한국에선 2만 5천 원에 판매가 돼요. 근데 여기서는 5천 원에. 한국에서 주문했더라도 다 여기(중국)에서 만들어서 나오는 제품들이거든요." <br /> <br />물론 고가 제품을 중국 직구로 사긴 아직 꺼려진다는 소비자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지유 / 부산남구] <br />"(한국인) 리뷰가 없다 하면 돈을 조금 더 보태서 주더라도 국내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을 (구매합니다.)"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 업체들은 최대 90% 할인, 90일 이내 무료 반품, 가품 확인 시 100% 환불 같은 파격 정책을 앞세워 한국 공략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온라인 유통업체가 차별화, 고급화된 상품을 발굴하지 못한다면 중국에 잠식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경제카메라 정현우입니다. <br /> <br />연출: 박희웅 김태희 <br />구성: 강전호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